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신장에좋은음식
- 수목드라마
- 위통증
- 고혈압 낮추는 방법
- 정인선
- 조여정
- 양준일패션
- 우체국택배
- 신장질환의 증상
- 질염증상
- 장승조
- 박세완
- 양준일나이
- 두번은없다
- 아내의맛
- 간에좋은음식
- 현빈연애
- 장도연나이
- 99억의여자
- 신장염
- 이지훈
- 신우신염
- 토크가하고싶어서
- 하자있는인간들
- 도라지의 효능
- 고혈압에좋은음식
- 뇌경색 초기증상
- 손예진연애
- 질염
- 유령을잡아라
- Today
- Total
알찬정보세상
간에 좋은 차 건강하게 마시자 본문
간 건강 챙기시는 분 많죠. 간에 좋은 차 이야기 나눠보도록 할게요.
몸에서 간이 하는 기능은 탄수화물 대사와 아미노산과 단백질의 대사 지방 대사와 호르몬대사, 해독작용과 살균 작용까지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꼭 챙겨야할 몸속 장기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간에 좋은 차 이야기로 간 건강을 챙기시는 분께 추천 해드리겠습니다.
간의 경우에는 손상이 되더라도 70프로이상 손상되어야 증상들이 나타나기에 침묵의 장기라고 한다고 합니다. 미리미리 건강에 좋은 음식을 많이 섭취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첫 번째 헛개나무차입니다. 해독작용이 워낙 좋기로 알려진 헛개나무 인데요. 숙취해소에도 좋아서 술 드시는 분들은 물 대신 드시기도 하죠. 간수치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고 지방간 예방에 도움을 주는 건강한 차입니다.
두 번째 옥수수 수염차입니다. 이뇨작용이 뛰어나서 다이어트나 붓기제거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진 차 인데요. 더하여 혈압강화와 간수치 조절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더하여 담즙 분비를 활발하게 해주어서 간수치 조절과 간기능 회복에 좋은 차입니다.
세 번째 결명자차입니다. 눈에 좋기로 알려져 보리차 대신 마시는 분들이 계시죠. 간에 있는 열을 내려주기 좋은 찬 성질로써 간의 열 때문에 눈이 빨갛게 붓고 눈물이 나올 때 좋다고 합니다. 또한 숙취해소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하니 챙겨드시면 좋은 음식입니다.
네 번째 오미자차입니다. 이미 오미자차 이야기는 제 블로그에서 여러번 나눈적 있었는데요.
그만큼 건강에 좋은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는 증거이겟죠? 간세포 손상도 막아주고 알콜농도를 낮춰주기 때문에 간 건강에도 좋은 효과를 많이 준다고 합니다.
다섯 번째 구기차자입니다. 구기자의 경우 비타민들이 많이 들어있고 항산화 효과가 좋아 피부미용에도 일품이며 고지혈증을 개선해주고 노화를 늦춰주는 식품입니다. 또한 간의 지방침착을 막아주고 세포제생촉진을 하는 베타인 성분이 듬뿍 들어있어서 간을 보호하고 지켜주는데 좋은 차입니다.
간에 좋은 차 여섯 번째 울금차입니다. 어혈을 풀어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어 혈액순환에 좋고 여성에게 좋은 차라고 이야기 할만큼 생리불순과 생리통에 좋은데요 지혈과 해독작용 또한 좋아 간의 기능 회복에 좋은 식품입니다.
마지막 추천해드릴 차는 민들레차입니다. 당뇨를 앓고 계신분들이 자주 들어 보셨을텐데요. 당의 분화를 촉진시켜주는 실리마린이 많이 들어있어서 몸속 노폐물을 배출하는데 좋다고 합니다. 또한 간세포들이 좋은 역할을 할수 있게 도움을 준다고 하니 건강을 챙기시는 분들이라면 꼭 드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은은한 향이 좋더라구요.
건강이야기를 함께 나누면서 더욱 드는생각이 건강만큼 중요한게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함께 나눈 이야기로 좋은음식 챙겨드시고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꿀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기자효능 다양하고맛도좋아요 (0) | 2017.02.03 |
---|---|
호박즙효능 생각보다 많아요! (0) | 2017.02.03 |
간이 안좋을때 증상 알려드릴게요 (0) | 2017.02.03 |
목아플때 좋은음식 챙겨먹어요 (0) | 2017.02.02 |
카카오닙스 효능 이야기해보아요 (0) | 2017.02.02 |